3) 세상은 바뀔까

2022. 2. 8. 12:15도서 정리/2020

<코로나 사피엔스> 

> 우리나라 의료 부분이 미국과 다른 이유

1960년대 의료보험이 처음 개정될 당시는 북한과 경쟁이 굉장히 심한 상태였다.

북한의 사회주의적 의료체계에 뒤쳐질 수 없었다.

 

<정해진 미래> 

> 외국인 노동자가 늘어나기 힘든 이유

- 20, 50대 누가 오는 게 나을까

- 건강한 사람, 그렇지 못한 사람 누가 와야 될까

- 혼자 와야 될까 부양할 가족과 와야 될까

- 노동자가 일하다 다쳤다. 새로 받아야 되나 치료해줘야 하나

 

이런 질문에 외국인 노동자를 대하는 우리 사회 인식이 드러난다

> (고령화로) 급히 일손을 빌리지만 공동체로 생각하지 않는 것

 

<사회주의란 무엇인가>

1. 자본은 축적이요. 축적된 노동이다. 축적된 노동은 특정한 사회관계 속에서만 자본이 된다.

 

2.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이윤을 올리는 데 어떻게든 도움이 될 때만 일자리를 얻을 수 있다.

 

3. 범죄보다는 실업, 물가, 집세, 사회복지, 질병, 교통사고, 기후변화 따위가 평범한 사람들의 생활과 행복에 큰 영향을 미친다.

 

4. 당선한 정치인은 높은 경제 사회적 지위에 오른다. 따라서 대표자들이 거리낌 없이 부패를 저지르고 자신의 선거공약을 뒤집는 것은 지극히 손쉬운 일이다.

 

<노동을 보는 눈>

1. 노동이 상품이 된 계기는 농민들이 농장에서 쫓겨났을 때 집단에서 개인으로 되었기 때문이다.

 

2. 더 이상 살 길이 없자 공장에 자발적으로 들어가고 승진을 위해 서로 경쟁하기 시작

 

3. 공장 안에서는 민주주의란 없다. 노동자는 자본가의 말을 듣고 이것 때문에 경영 참가가 생겨났다.

 

4. 참된 사회 변화의 원리: 바닷물은 짜지만 소금의 비율은 3.5%. 인간도 그렇다. 100명 중 향기로운 사람, 지혜로운 사람이 서너 명만 되어도 지혜롭고 향기로운 모임을 만들 수 있다.

 

5. 우리가 꿈꾸는 사회는 돈과 권력을 독점하는 것이 아니다. 보편적으로 행복을 찾는 것을 꿈꾼다. 이런 꿈은 사회적으로 정당성을 지닌다: 누군가 욕해도 결코 흔들릴 필요가 없다.

 

6. 아무리 해도 세상이 변하지 않을 것 같지만 사실 역사는 변해왔다. 노예제도 무너졌고 봉건제도 무너졌다.

지금 문제는 변화가 생각보다 더디게 진행된다는 점이다. 당대가 못하면 후세가 이어가면 된다. 분명 우리와 같은 다른 이들이 할 것이다.